맨위로가기

실비오 로드리게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실비오 로드리게스는 쿠바의 싱어송라이터이자 누에바 트로바 운동의 대표적인 인물이다. 1946년 쿠바에서 태어나 가난한 농부의 아들로 어린 시절부터 음악에 대한 애정을 키웠다. 쿠바 혁명 이후 청소년기에 사회주의 청년 협회에 가입하고, 군 복무를 하며 음악 활동을 시작했다. 1967년 텔레비전 프로그램 출연을 계기로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으며, 체 게바라의 죽음을 애도하는 노래를 발표하며 사회적 메시지를 담은 음악으로 주목받았다. 그의 음악은 스페인어권 좌파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40년이 넘는 활동 기간 동안 500곡 이상을 작곡했다. 2010년에는 30년 만에 미국에서 공연을 개최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쿠바의 남자 싱어송라이터 - 존 세카다
    쿠바 출신 미국인 싱어송라이터이자 뮤지컬 배우인 존 세카다는 글로리아 에스테판의 백업 가수로 음악 경력을 시작해 솔로 데뷔 후 세계적인 성공을 거두며 그래미상을 수상하고 브로드웨이 뮤지컬 배우로도 활동하는 다재다능한 예술가이다.
  • 쿠바의 남자 싱어송라이터 - 호세이토 페르난데스
    호세이토 페르난데스는 1928년 데뷔한 쿠바의 가수 겸 작곡가로, 특히 "과히라 관타나메라"를 작곡하고 불러 대한민국에 널리 알려져 있다.
  • 쿠바의 남자 가수 - 파블로 밀라네스
    파블로 밀라네스는 쿠바 바야모 출신의 가수이자 기타리스트로, 누에바 트로바 운동의 중심 인물로서 쿠바 혁명 지지, 정치적 탄압 경험, 쿠바 정부 비판, 그리고 쿠바 전통 음악과 다양한 장르를 융합한 독자적인 음악 스타일 구축 등의 활동을 펼쳤다.
  • 쿠바의 남자 가수 - 이브라힘 페레르
    쿠바의 음악가 이브라힘 페레르는 손, 과라차, 볼레로를 불렀으며 부에나 비스타 소셜 클럽 프로젝트 참여와 라틴 그래미 최우수 신인 아티스트상 수상으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다.
  • 쿠바의 음악가 - 파블로 밀라네스
    파블로 밀라네스는 쿠바 바야모 출신의 가수이자 기타리스트로, 누에바 트로바 운동의 중심 인물로서 쿠바 혁명 지지, 정치적 탄압 경험, 쿠바 정부 비판, 그리고 쿠바 전통 음악과 다양한 장르를 융합한 독자적인 음악 스타일 구축 등의 활동을 펼쳤다.
  • 쿠바의 음악가 - 아르만도 페라자
    쿠바 출신 미국의 라틴 재즈 타악기 연주자인 아르만도 페라자는 콩가 연주자로서 찰리 파커, 디지 길레스피 등과 협연하고 산타나 밴드 멤버로 활동하며 아프로-쿠반 음악을 알리는 데 기여했으며, 작곡가로서도 재능을 발휘했다.
실비오 로드리게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04년 아르헨티나에서 열린 페스티벌에서 실비오 로드리게스
2004년 아르헨티나에서 열린 페스티벌에서 실비오 로드리게스
본명실비오 로드리게스 도밍게스
출생일1946년 11월 29일
출생지산안토니오데로스바뇨스, 아바나주, 쿠바
직업싱어송라이터
활동 기간1967년–현재
악기기타, 보컬
장르누에바 트로바
관련 활동비센테 펠리우
사라 곤살레스
파블로 밀라네스
노엘 니콜라
레시덴테
웹사이트zurrondelaprendiz.com

2. 생애

산 안토니오 데 로스 바뇨스의 가난한 농부 가정에서 태어난 실비오 로드리게스는 어릴 때부터 음악적 재능을 보였다. 아버지 빅토르 다고베르토 로드리게스 오르테가는 사회주의를 지지하는 농부이자 아마추어 시인이었고, 어머니 아르헬리아 도밍게스 레온은 젊은 시절 듀엣으로 활동하며 여러 라디오 방송과 문화 행사에 참여한 경험이 있었다.[2] 로드리게스는 어머니가 부르던 쿠바 민요를 통해 음악에 대한 사랑을 키웠다.[2]

두 살 때부터 아버지를 위해 노래를 부르기 시작한 로드리게스는 쿠바 라디오 방송국의 음악 경연 대회에 참가했고,[3] 이후 어린이 음악 경연 대회에서 볼레로를 불러 1등을 차지했다.[3] 다섯 살 때 가족과 함께 하바나로 이사한 후, 라디오 행사에 참여했고, 삼촌에게서 첫 악기인 콩가 드럼을 선물 받았다.[4]

1959년 피델 카스트로의 혁명은 그의 음악적 삶을 형성하는 데 큰 영향을 주었다. 체 게바라가 창설한 사회주의 청년 협회에 입대했고, 바칠레라토라는 대학교육을 받았다. 거기서 누에바 트로바 운동의 또 다른 멤버인 빈센테 펠리우와 친구가 되었다.[7]

1961년 쿠바 문맹 퇴치 캠페인에 참여했던 로드리게스는 독성 식물로 인해 화상을 입고 아바나로 돌아가야 했다.[9] 수도에서 공산주의 잡지 ''Mella''에서 일하는 만화가들을 만났고, 1962년 초부터 이 잡지와 협력하기 시작했다. 페데리코 가르시아 로르카, 파블로 네루다 등의 작품을 읽기 시작했다. 로드리게스는 잡지에서 연재물 ''El hueco''의 삽화가로 명성을 얻었다. 그의 동료 중 한 명인 라자로 푼도라는 기타를 연주했고, 로드리게스에게 악기의 첫 번째 코드를 가르쳤다.[8]

1964년, 의무 군 복무를 위해 푸에르자스 아르마다스 레볼루시오나리아스(FAR)에 입대했고, 그곳에서 기타 연주 지도를 해 준 부대원을 만났다. 마나과 군사 캠프에서 다른 병사들을 위해 자신의 첫 곡을 작곡했다. 1967년, 군 복무를 마치기 직전에 시집 ''Honradado Cuaderno No. 1''로 FAR 문학 경연 대회에서 명예상을 수상했다.[12]

로드리게스는 1967년 텔레비전 프로그램 ''음악과 별들''에서 대중 앞에서 음악 데뷔를 했다.[11] 1967년 11월부터 1968년 중반까지, 자신의 노래 제목에서 이름을 딴 텔레비전 프로그램 ''그 동안''(Mientras tanto)을 진행했다. 이 프로그램에는 볼라 데 니에베, 오마라 포르투온도를 비롯한 영향력 있는 쿠바 예술가들이 출연했다.[13]

로드리게스는 텔레비전 출연을 통해 쿠바의 혁명적인 젊은이들 사이에서 널리 알려졌다. 혁명을 지지하면서도 독립적인 가사를 쓴 그는 쿠바 문화에서 미국의 영향력을 없애려는 신 문화부 일부 구성원들의 반감을 사기도 했다. 아메리카의 집과 하이데 산타마리아가 중요한 역할을 했다. 아메리카의 집은 새로운 쿠바의 ''트로바도르''뿐만 아니라 좌파 성향의 다른 많은 라틴 아메리카인들에게도 보금자리가 되었다. 로드리게스는 이곳에서 파블로 밀라네스, 노엘 니콜라를 만났고, 이들은 함께 누에바 트로바의 가장 유명한 가수가 되었다.

1969년, 어선 플라야 기론호의 선원으로 5개월 동안 일하면서 "오할라"와 "플라야 기론"을 포함한 62곡의 노래를 작곡했다. 1976년, 앙골라에서 쿠바 군대에 합류하여 군인들을 위해 연주했다.

실비오 로드리게스는 여러 차례 미국 비자를 거부당했으나, 2010년 비자를 받아 푸에르토리코, 뉴욕 등지에서 공연했다. 이는 30년 만에 미국에서의 첫 공연이었다.[18][19]

2. 1. 어린 시절 (1946~1958)

산 안토니오 데 로스 바뇨스의 가난한 농부 가정에서 태어난 실비오 로드리게스는 어릴 때부터 음악적 재능을 보였다. 그의 아버지 빅토르 다고베르토 로드리게스 오르테가는 사회주의를 지지하는 농부이자 아마추어 시인이었고, 어머니 아르헬리아 도밍게스 레온은 주부였지만 젊은 시절 듀엣으로 활동하며 여러 라디오 방송과 문화 행사에 참여했다.[2] 로드리게스는 어머니가 부르던 쿠바 민요 "El colibrí"를 통해 음악에 대한 사랑을 키웠으며, 어머니는 나중에 그의 음악 활동에 함께 참여하기도 했다. 그의 삼촌 라미로 도밍게스는 재즈 밴드 Mambí의 멤버인 전문 음악가였다.[2] 이러한 음악적 환경은 로드리게스가 트로바 음악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가 되었다.[3]

두 살 때부터 아버지를 위해 노래를 부르기 시작한 로드리게스는, 쿠바 라디오 방송국 CMQ의 음악 경연 대회 ''Buscando una estrella''("별을 찾아서")에 참가했다.[3] 이후 헤르만 피넬리가 감독한 어린이 음악 경연 대회에서 볼레로 ''Viajera''("여행자")를 불러 1등을 차지했다.[3]

다섯 살 때 가족과 함께 하바나로 이사한 후, "우리는 오늘 행복하다"라는 라디오 행사에 참여했고, 삼촌에게서 첫 악기인 콩가 드럼을 선물 받았다.[4] 1953년, 쿠바 혁명이 시작될 무렵, 아버지는 그를 라 밀라그로사 음악원에 등록시켰고, 6개월 만에 입문 수업과 첫 피아노 과정을 통과했지만, 곧 흥미를 잃고 중단했다.[5] 아홉 살 때부터 호세 마르티루벤 다리오 등의 시를 읽으며 문학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6] 앙투안 드 생텍쥐페리의 ''어린 왕자''는 그가 가장 좋아하는 책 중 하나가 되었다.[4]

열 살 때 부모의 이혼으로 어머니, 누이와 함께 고향으로 돌아갔지만, 1958년에 부모가 재결합하여 하바나 시내 중심가로 다시 이사했다.[7]

2. 2. 청소년기 (1959~1963)

1962년의 실비오 로드리게스


1959년 1월 1일, 로드리게스가 13세였을 때, 피델 카스트로의 에헤르시토 레벨데(Éjercito Rebelde)가 풀헨시오 바티스타의 독재를 종식시켰다. 이 사건은 싱어송라이터의 음악적 삶을 형성했고, 그의 어린 시절에서 청소년기로의 전환과 일치했다. 그는 그의 세대의 많은 쿠바인들처럼 새로운 혁명적 열정에 참여했다. 체 게바라가 창설한 산 안토니오 데 로스 바뇨스의 사회주의 청년 협회에 입대했고, 카를로스 핀레이 학교의 야간 학교에 등록하여 바칠레라토라는 대학교육을 받았다. 그곳에서 누에바 트로바 운동의 또 다른 미래 멤버인 빈센테 펠리우와 친구가 되었다.[7]

그 다음 해, 쿠바의 기업 국유화와 미국의 금수 조치로 인한 사회적 긴장 속에서, 그의 부모는 무기한 헤어졌다. 당시 집에서 미용사로 일하던 아르헬리아는 롤란도라는 남성과 결혼하여 다고베르토 근처의 게르바시오 거리 456번지로 이사했다. 실비오는 이 시기에 클래식 음악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7]

1961년 1월, 미국은 존 F. 케네디 대통령의 당선 이후 쿠바와 외교 관계를 단절했고, 케네디는 중앙 정보국(CIA)에 쿠바 침공을 승인했다. 4월 15일, 하바나, 산티아고 데 쿠바, 산 안토니오 데 로스 바뇨스에서 폭격이 시작되었다. 실비오는 최근 학교 민병대에 가입했음에도 불구하고 가족은 최근에 산 안토니오 데 로스 바뇨스로 돌아왔다. 고향으로의 귀환은 실비오가 청소년기에서 청년기로 넘어가면서 새로운 책임을 맡게 되는 기회가 되었다.[8]

2. 3. 청년기 (1964~1967)

1961년, 쿠바 문맹 퇴치 캠페인 중 로드리게스는 독성이 있는 식물을 섭취하여 화상을 입었고, 이로 인해 아바나로 돌아가야 했다.[9] 수도에서 그는 공산주의 잡지 ''Mella''에서 일하는 만화가 비르힐리오 마르티네스(Virgilio Martínez)와 호세 루이스 포사다(José Luis Posada)를 만났고, 1962년 초부터 이 잡지와 협력하기 시작했다. 그는 작가 빅토르 카사우스(Víctor Casaus)와 루이스 로헬리오 노게라스(Luis Rogelio Nogueras)를 만났는데, 이들은 나중에 ''Silvio: que levante la mano la guitarra''[10]라는 책을 썼고, 이후 같은 이름의 영화로 각색되었다. 페데리코 가르시아 로르카, 파블로 네루다, 기옌, 에드거 앨런 포, 월트 휘트먼의 작품을 읽기 시작했다. 로드리게스는 잡지에서 연재물 ''El hueco''의 삽화가로 명성을 얻었다. 그의 동료 중 한 명인 라자로 푼도라(Lázaro Fundora)는 취미로 기타를 연주했고, 로드리게스에게 그의 미래 작품의 핵심 부분이 될 악기의 첫 번째 코드를 가르쳤다.[8]

1963년, 그의 두 번째 여동생 아나벨 로페스(Anabell López)가 그의 어머니와 롤란도(Rolando) 사이에서 태어나자 로드리게스는 아바나의 산 알레한드로 학교에서 회화를 공부하기 시작했다. 그는 또한 어린 시절에 포기했던 피아노 수업을 다시 들었는데, 이번에는 엘비라 파브레 오브레곤(Elvira Fabre Obregón)의 지도를 받았다.[11]

1964년, 17세가 된 그는 의무 군 복무에 참여해야 했다. 푸에르자스 아르마다스 레볼루시오나리아스(FAR)에 입대했고, 그곳에서 기타 연주에 대한 추가 지도를 해 준 부대원 에스테반 바뇨스(Esteban Baños)를 만났다. 마나과 군사 캠프에서 다른 병사들을 위해 자신의 첫 곡을 작곡했다. 1964년과 1965년에 쓰여진 그의 첫 곡은 사랑에 대한 볼레로 ¨Saudade"와 "La cascada"였으며, 나중에 "Atavismo", "Nuestra ciudad", "Es sed", "Te vas", "La otra presencia"를 썼다. 이 시기 직후 저항 노래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동시에 군 정치부에서 발행하는 잡지 ''Venceremos''의 예술 및 과학 섹션의 삽화가로 일했다. 1965년, 잡지 ''Verde Olive''로 옮겨 군 복무가 끝날 때까지 낮에는 일하고 밤에는 혼자 기타를 배웠다.[11]

1967년, 군 복무를 마치기 직전에 시집 ''Honradado Cuaderno No. 1''로 FAR 문학 경연 대회에서 명예상을 수상했다.[12] 이 시기가 끝날 무렵, 그의 다작의 음악 경력을 시작했다.[11]

2. 4. 음악 활동

로드리게스는 1967년 6월 13일, 음악 감독 마리오 로메우의 초청으로 텔레비전 프로그램 ''음악과 별들''(Música y estrellas)에서 대중 앞에서 음악 데뷔를 했다.[11] 이 자리에서 로드리게스는 "Es sed", "Sueño del colgado y la tierra", 그리고 2002년에 발매된 그의 앨범 ''Expedición''에 수록된 "Quédate"를 불렀다.[13]

1967년 11월부터 1968년 중반까지, 그는 자신의 노래 중 하나에서 이름을 딴 텔레비전 프로그램 ''그 동안''(Mientras tanto)의 진행을 맡았다. 이 프로그램은 예술가, 작가, 영화 제작자, 신인 및 기성 예술가들을 게스트로 초대했다. 출연자 중에는 볼라 데 니에베, 오마라 포르투온도, 엘레나 버크를 비롯한 영향력 있는 쿠바 예술가들이 있었다. 각 에피소드는 로드리게스의 1978년 앨범 ''Mujeres''에 수록된 그의 노래 "Y nada más"로 끝을 맺었다. 1967년 체 게바라의 죽음 이후, 그는 항의 노래 "¿Por qué?"와 "La leyenda del águila"를 썼다. 이 시기에 쓰여진 다른 노래로는 'Ay de mí', 'Debajo del cañón', 'Déjame regresar', 'En busca del tiempo perdido', 'En ti', 'Graciela', 'Grita más', 'Hay un grupo que dice', 'Los funerales del insecto', 'María', 'Muerto', 'Oye', 'Quién va a pensar en algo más', 'Si se va la esperanza', 'Tema de la adolescencia', 'Tengo que estar en ti', 'Treinta años', 'Tu beso', 그리고 'Y anoche' 등이 있다. 이 중 일부는 그가 첫 번째 중요한 사랑으로 여겼던 에밀리아라는 여성에게 헌정되었다.[13][11]

로드리게스는 조명과 카메라 앞에서 항상 공포감을 느꼈다고 한다. 그러나 그는 텔레비전 진행자로서 긴장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그의 프로그램은 쿠바 대중으로부터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다.[14]

2. 5. 누에바 트로바 (1967~)

1967년, 로드리게스는 음악 감독 마리오 로메우의 초청으로 텔레비전 프로그램 ''음악과 별들''에 출연하며 대중 앞에 처음으로 음악을 선보였다.[11] 이 무대에서 그는 "Es sed", "Sueño del colgado y la tierra", 그리고 2002년 앨범 ''Expedición''에 수록된 "Quédate"를 불렀다.[13]

1967년 11월부터 1968년 중반까지, 그는 자신의 노래 제목에서 이름을 딴 텔레비전 프로그램 ''그 동안''(Mientras tanto)을 진행했다. 이 프로그램에는 볼라 데 니에베, 오마라 포르투온도, 엘레나 버크와 같은 유명 쿠바 예술가들이 출연했다. 프로그램은 로드리게스의 노래 "Y nada más"로 막을 내렸다. 1967년 체 게바라가 사망한 후, 그는 항의 노래 "¿Por qué?"와 "La leyenda del águila"를 작곡했다.

로드리게스는 텔레비전 출연을 통해 쿠바의 혁명적인 젊은이들 사이에서 널리 알려지고 영향력 있는 인물이 되었다. 혁명을 지지하면서도 독립적인 가사를 쓴 그는 쿠바 문화에서 미국의 영향력을 없애려는 신 문화부 일부 구성원들의 반감을 사기도 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아메리카의 집과 하이데 산타마리아가 중요한 역할을 했다. 하이데 산타마리아는 젊은 작곡가들과 그의 동료들을 보호했다. 아메리카의 집은 새로운 쿠바의 ''트로바도르''뿐만 아니라 좌파 성향의 다른 많은 라틴 아메리카인들에게도 보금자리가 되었다. 로드리게스는 이곳에서 파블로 밀라네스, 노엘 니콜라를 만났고, 이들은 함께 누에바 트로바의 가장 유명한 가수이자 작곡가가 되었다.

1969년, 그는 어선 플라야 기론호의 선원으로 5개월 동안 일하면서 "오할라"와 "플라야 기론"을 포함한 62곡의 노래를 작곡했다. 이 노래들의 가사와 음악은 ''바다의 노래''라는 책으로 출판되었다. 1976년, 그는 앙골라에서 쿠바 군대에 합류하여 군인들을 위해 연주했다.

2. 6. 미국 공연

실비오 로드리게스는 여러 차례 미국 비자를 거부당했으며, 특히 2009년 피트 시거의 90세 생일을 기념하는 행사에 초청받았을 때 논란이 일었다. 그러나 2010년, 그는 비자를 받아 푸에르토리코 (5월 30일), 뉴욕 (6월 4일 및 10일), 오클랜드 (6월 12일), 로스앤젤레스 (6월 17일), 워싱턴 D.C. (6월 19일) 및 올랜도 (6월 23일)에서 공연했다. 이는 30년 만에 미국에서의 첫 공연이었다.[18][19]

3. 음반 목록

실비오 로드리게스 음반 목록
발매 연도음반 제목
1968항의의 노래(Canción Protesta) (EP)
1968Fusil contra fusil
1969깃펜을 들고(Pluma en Ristre) (EP)
1972Cuba va (파블로 밀라네스, 노엘 니콜라와 함께)
1975디아스 이 플로레스(Días y Flores)
1977미래를 말할 때
1978알 피날 데 에스테 비아헤(Al Final de Este Viaje)
1978Musica Cubana, SRLP 305/6 (1976년 10월 19일 아바나의 하이데 산타마리아의 집에서 녹음된 El MayorOleo de Mujer con Sombrero 수록, 스웨덴 다큐멘터리용)
1979Mujeres
1979Rabo de Nube
1982유니코르니오(Unicornio)
1984Tríptico: Volumes I, II & III
1984아르헨티나 라이브 (파블로 밀라네스와 함께)
1986원인과 우연 (with 아프로쿠바)
1987나무들 (with 로이 브라운)
1988오, 멜랑콜리아 (with 아프로쿠바)
1990칠레의 실비오 로드리게스
1990스페인과 아르헨티나 라이브
1991Silvio en Chile (이라케레와 함께 한 라이브 콘서트)
1992Silvio
1993마노 아 마노 (루이스 에두아르도 아우테와 함께)
1994로드리게스(Rodríguez)
1996Domínguez
1998Descartes
1999Mariposas
2002Expedición
2003Cita con Ángeles
2006Érase Que Se Era
2010Segunda Cita
2015Amoríos
2020Para la espera
2021실비오 로드리게스 콘 디아카라 (with 디아카라)[20]
2024케리아 사베르(Quería saber)


참조

[1] 웹사이트 Hoy cumple 70 años el cantautor más querido de Cuba, Silvio Rodríguez http://www.imagenrad[...] Imagen Radio 2016-11-29
[2] 간행물 Conversando con Silvio Rodríguez La Jiribilla 2005-03-12
[3] 서적 Silvio Rodríguez: Análisis literario y musical de sus obras más populares. Semblanza biográfica Abecedario 2005
[4] 문서 León, op. cit., p. 29.
[5] 간행물 Lovers and rulers, the real and the surreal: harmonic metaphors in Silvio Rodríguez's songs Transcultural music review/Revista transcultural de música 2006-12
[6] 간행물 "A mí no me gusta cantar... me gusta hacer canciones": Entrevista a Silvio Rodríguez para diario La Tercera, Chile, 22 de septiembre de 1996 Zurrón del Aprendiz 1996-09-22
[7] 문서 León, op. cit., pp. 32-33.
[8] 문서 León, op. cit., p. 34.
[9] 문서 León, op. cit., pp. 35-36.
[10] 서적 Silvio: que levante la mano la guitarra Letras Cubanas 1984
[11] 문서 León, op. cit., pp. 37-39.
[12] 뉴스 Silvio Rodríguez: Biografía Radio RedDelSur 2009
[13] 문서 Canciones inéditas Zurrón del aprendiz
[14] 문서 Al inicio de este viaje en la vida Zurrón del aprendiz
[15] 논문 Música y clandestinidad en dictadura: la represión, la circulación de músicas de resistencia y el casete clandestino https://scielo.conic[...]
[16] 뉴스 Honoris Causa para trovador cubano Silvio Rodríguez http://www.unmsm.edu[...] San Marcos al Día 2006-02-22
[17] 웹사이트 José González interview http://www.hatesomet[...] Hate Something Beautiful 2006-06-29
[18] 뉴스 Silvio Rodriguez Plays First American Show in 30 Years http://blogs.miamine[...] 2010-05-14
[19] 뉴스 Music Review: A Cuban Folk Song Pioneer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2010-06-06
[20] 웹사이트 Silvio Rodríguez Con Diákara https://www.discogs.[...] 2024-05-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